분류 전체보기 1097

김홍도(단원)미술관

《조선의 그림-단원 김홍도》기간:2023.6.27.~ 상설전시장소:김홍도미술관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충장로 관람시간:10:00~18:00(월요일,1월1일,설날.추석 당일 휴관)관람료:무료檀園 金弘道(1745년~ 1806년경)단원 김홍도의 자는 사능士能, 호는 서호西湖, 단구丹邱, 단원, 고면거 사高眠居士, 취화사醉畵士; 醉畵史, 첩취옹輒醉翁, 본관은 김해金海 김씨金氏로 대대로 무관을 지낸 중인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조선후기 문예부흥기 라 일컫는 영조英(재위 1724~1776)와 정조正組(재위 1776~1800)시대를 거쳐 순조純祖(재위 1800-1834) 초기까지 활동했던 화가이다. 일찍이 도화서 화 원으로 들어가 임금의 어진, 궁중 기록화를 포함한 다양한 국가와 왕실 소용의 회화 제작을 주도하여 그 ..

카테고리 없음 2025.04.03

五老峯-李白

五老峯爲筆 三湘作硯池(오로봉위필 삼상작연지) 靑天一張紙 寫我腹中詩(청천일장지 사아복중시) 오로봉을 붓으로 하고삼상강을 벼루 삼아서 푸른 하늘 한 장의 종이에내 마음의 시를 써보리라! *당나라 시인 李白(이백)의 五老峯(오로봉)이라는 詩라고 한다.*五老峯(오로봉) 중국 江西성 廬山 동남쪽에 있는 다섯 개 봉우리 *三湘(삼상) 洞庭湖로 흘러 들어가는 세 개(瀟湘(소상), 烝湘(증상), 沅湘(원상) )의 강 * 안중근 의사가 중국 뤼순 감옥에서 쓴 오언절구의 유묵(遺墨)으로 보물 제569-9호 지정

카테고리 없음 2025.04.02

古意-張維

古意(고의)-張維(장유)白鷺自白烏自黑(백로자백오자흑) 해오라긴 절로 희고 까마귀는 절로 검고,半白半黑枝頭鵲(반백반흑지두작) 반 희고 반 검기는 가지 위에 까치로다.天生萬物賦形色(천생만물부형색) 하늘이 형형색색으로 만물을 낳았어도白黑未可分善惡(백흑미가분선악) 백과 흑을 선악으로 나누지는 않았네.山鷄文采錦不如(산계문채금불여) 산꿩은 무늬가 비단보다 아름다워照明靑潭或自溺(조명청담혹자익) 제 모습 푸른 못에 밝게 비춰 반하지만,獨憐鷦鷯占一枝(독련초료점일지) 어여쁘다, 뱁새도 한 나뭇가지 차지하여逍遙不羨垂天翼(소요불선수천익) 대붕새를 부러워하지 않고 즐기고 있네.*張維(장유):字:持國(지국).號:谿谷(계곡).朝鮮 중기 文臣 장유(張維)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aks.ac.kr

카테고리 없음 2025.04.01

겸재 정선 작품전

겸재 정선 작품 특별전시회 호암미술관은 한국회화사를 대표하는 화가이자 진경산수화의 대가인 겸재 정선(謙齋 鄭敾, 1676-1759)의 회화를 조명하는 대규모 기획전을 개최합니다.본 전시에는 정선의 대표작 165여 점이 출품될 예정이며, 정선의 진경산수화는 물론 산수화, 인물화, 화조영모화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통해 정선의 회화세계 전모를 조명합니다.겸재 정선 작품 특별전시회2025.04.02. – 2025.06.29.호암미술관: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에버랜드로 562번길 38‘검이불루 화이불치(儉而不陋 華而不侈)’처럼 검소하지만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은 아름다운 고고함이 작품에 남아 있는... 겸재 金剛.關東-1金剛全圖정선필 금강전도(鄭敾筆 金剛全圖)는 조선 후기 실경산수화풍을..

카테고리 없음 2025.04.01

見樹不見林

*견수불견림(見樹不見林): 나무는 보고 숲은 보지 못한다는 뜻이다. 우리는 눈앞의 나무는 보지만 그 숲의 전체적인 모습은 어떤가를 알지 못하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책을 읽을 때도 마찬가지다. 처음에는 주제(主題)를 따라 읽어가다가 책의 내용이 복잡해지면, 정작 주제는 놓쳐버리고, 지엽적(枝葉的)인 것만 따라가는 수가 있다. 산에 가서 숲 전체를 보아야만 길을 잃지 않듯이, 책을 읽을 때도 주제를 놓치지 않으려고 노력(努力)해야만 한다. 공자 같은 성인(聖人)의 언행(言行)을 기록한 큰 가르침이 담긴 책이라 할지라도 거기서 아무런 감명도 받지 못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너무나좋아서 완전히 도취(陶醉)되는 사람도 있다. 책은 같지만 읽은 뒤의 감응(感應)은 다 다르다. 읽는 사람의 정신자세(精神姿勢), ..

카테고리 없음 2025.03.30

春殘-李淸照

春殘춘잔-李淸照이청조春殘何事苦思鄕 춘잔하사고사향病裏梳頭恨最長 병리소두한최장梁燕語多終日在 양연어다종일재薔薇風細一簾香 장미풍세일렴향스러지는 봄날에 자꾸 이는 고향생각앓는 중에 하는 빗질 긴 머리가 한스럽네들보 밑에 제비는 하루 종일 지저귀고장미 지난 실바람에 주렴 안이 향기롭네◈ 이청조李淸照(1084~1155)남송南宋의 여류시인. 호는 이안거사易安居士와 수옥漱玉. 제주齊州 장구章丘(현재의 산동山東 지역) 사람으로 부친 이격비李格非가 당대의 유명한 학자였고, 남편 조명성趙明誠은 금석학에 조예가 깊었다. 일찍부터 가세가 부유하여 부부가 함께 서화와 금석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데 힘썼으며 《금석록金石錄》을 남겼다. 금金이 중원으로 들어오자 남방으로 옮겨가 살다가 남편이 병사한 뒤 저장성浙江省 일대를 유랑하며 ..

카테고리 없음 2025.03.30

恭儉惟德-書經句

恭儉惟德(공검유덕)공손하고 검소하며 오직 덕을 행한다.原文원문: 서경, 周書. 周官篇 4)영화를 누릴 때 위태로움을 생각하라位不期驕위불기교 祿不期侈녹불기치恭儉惟德공검유덕無載爾僞무재이위作德心逸日休작덕심일일휴作僞心勞日拙작위심로일졸.語譯어역: 직위는 교만함에 그 뜻이 있지 않고,祿녹은 사치함에 그 뜻이 있는 것이 아니니,공손하고 검소하여 오직 덕만 행하고거짓됨을 행하지 말라.덕을 행하면 마음이 편안하고 날로 좋아지며,거짓을 행하면 마음이 피로하며날로 졸렬해지기 마련이다.註주◆期驕기교: 교만하려 드는 사람,즉 교만하고자 하는 사람을 말함.◆載재:여기서는 「행하다」의 뜻으로 쓰임.◆日休일휴: 날로 훌륭해짐.出典출전: (書經서경 周書주서 周官篇주관편)王曰嗚呼ㅣ라 凡我有官君子아 欽乃攸司하며 愼乃出令하라 令出은 惟行이..

카테고리 없음 2025.03.28

봄-김소월

봄-김소월이 나라 나라는 부서졌는데이 산천 여태 산천은 남아 있드냐봄은 왔다 하건만풀과 나무에뿐이어오! 서럽다 이를 두고 봄이냐치어라 꽃잎에도 눈물뿐 흩으며새 무리는 지저귀며 울지만쉬어라 이 두근거리는 가슴아못 보느냐 벌겋게 솟구는 봉숫불이끝끝내 그 무엇을 태우려 함이료그리워라 내 집은하늘 밖에 있나니애닯다 긁어 쥐어뜯어서다시금 쩗어졌다고다만 이 희끗희끗한 머리칼뿐인저는 빗질할 것도 없구나*이 시는 계절적인 봄은 왔지만 부서진 나라가 회복되는 봄(광복)이 오지 않아 절망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보의 춘망과 상당히 유사한 면모를 지니고 있으나 춘망은 가족의 소식을 그리워하고 몸이 약해짐을 그리고 있는 시이지만 소월은 망한 나라의 회복에 주된 초점을 맞추고 있다.1연은 나라는 일제에 의하여 망했는데 ..

카테고리 없음 2025.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