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 83

晚登三山還望京邑-謝朓

晚登三山還望京邑 만등삼산환망경읍 灞诶望長安,河陽視京縣。 파사망장안 하양시경현 白日麗飛薨,參差皆可見, 백일려비맹 참차개가견 餘霞散成綺,澄江靜如練。 여하산성기 징강정여련 喧鳥覆春洲,雜英滿芳甸。 훤조복춘주 잡영만방전 去矣方滯淫,懷哉罷歡宴。 거의방체음 회재파환연 佳期恨何許,淚下如流霰。 가기창하허 누하여류산 有情知望鄉,誰能鬢不變? 유정지망향 수능진불변 파강가에서 장안을 바라보니, 하양으로 낙양이 보이네. 햇빛 아래 빛나는 줄지어 날아오를 듯한 용마루, 높고 낮은 집들이 다 드러나보이네. 지는 노을 흩날려 수놓은 비단이 되고, 맑은 강물 고요해 흰 비단 같구나. 지껄이는 물새들 봄 모래톱을 뒤덮고, 온갖 꽃향기 들판에 가득하구나. 이제 가리라 오랫동안 머물렀구나, 길이길이 남을 송별연도 끝나고, 돌아올 기약 알면서..

카테고리 없음 2024.11.19

범운(范雲)-이별의 시(別詩)

洛陽城東西,長作經時別。낙양성동서 장작경시별昔去雪如花,今來花似雪。석거설여화 금래화사설낙양성의 동쪽과 서쪽에서 살지만, 늘 오랜 이별을 하네.지난번 헤어졌을 땐 눈이 꽃처럼 날더니 昔去雪如花이번에 만날 땐 꽃이 눈 같구나.今來花似雪위진남북조 시대의 남조 梁(양) 나라의 문신 범운(范雲)이 廣州(광주)刺史(자사)로 있을 때의 작품 이다.예로부터 물류(物流)는 ‘물(水)’을 따라 일어났다. 강을 끼고 물적·인적 교류의 거점으로 번영한 도시들 가운데 중국역사상 가장 오래된 곳이 낙양(洛陽)이다. 요즘엔 중국어 발음 뤄양으로 통하지만 일찍이 한국인들에게 ‘낙양’으로 친숙했다. “낙양성 10리 하에 높고 낮은 저 무덤은 영웅호걸이 몇몇이며 절세가인이 그 누구냐……” 굿거리장단 경기 소리의 ‘성주풀이’에 등장하는 바로..

카테고리 없음 2024.11.19

之零陵郡次新亭-范雲

之零陵郡次新亭-范雲 江幹遠樹浮,天末孤煙起, 강간원수부 천말고연기 江天自如合,煙樹還相似, 강천자여합 연수환상사 滄流未可源,高帆去何已? 창류미가원 고범거하이 강줄기 멀리 나무에 떠오르고, 하늘 끝 외로운 연기 피어오르네. 강과 하늘은 이같이 자연스레 합쳐지니, 연기와 나무는 또 비슷하기만 하다네. 푸른 강물 그 근원 찾을 수 없는데, 높이 단 돛 어디까지 가야 그치려나? *范雲범운(AD 451-503)은 남조시대의 문인으로 자가 언룡(彥龍), 지금의 허난(河南)성 비양(泌陽)현 서북지역 출신이다. 중국사의 시대구분에서, 최초의 본격 통일제국 한나라가 망하고 ‘삼국지’의 스토리인 위-촉-오 대결시기를 거쳐 위나라의 승리가 진(晉)나라로 이어진 후 수나라의 재통일까지를 위진남북조 시대라 한다. 북위, 북제(한족..

카테고리 없음 2024.11.19

石壁精舍還湖中作-謝靈運

石壁精舍還湖中作석벽정사환호중작昏旦變氣候 혼단변기후山水含淸暉 산수함청휘淸暉能娛人 청휘능오인游子憺忘歸 유자담망귀出谷日尙早 출곡일상조入舟陽已微 입주양이미林壑斂暝色 임학염명색雲霞收夕霏 운하수석비芰荷迭映蔚 기하질영울蒲稗相因依 포패상인의披拂趨南徑 피불추남경愉悅偃東扉 유열언동비慮澹自物輕 여담자물경意愜理無違 의협이무위寄言攝生客 기언섭생객試用此道推 시용차도추아침저녁 보는 것과 느끼는 게 달라지고산과 물 맑은 빛을 머금고 있네맑은 빛 능히 사람 즐겁게 하여노니는 이 돌아갈 길 잊어버리게 하네해 뜨기 전에 골짜기 나섰는데돌아가는 배 오르니 햇빛이 희미하네골짜기를 나올 때는 조금 이른가 싶었더니배 위에 올라 보니 날이 이미 저물었네구름과 놀 저녁안개 거둬들이네마름과 연꽃에 희미한 빛 번갈아 들고부들과 피 서로가 기대 있었는데..

카테고리 없음 2024.11.18

遊仙詞 87-8-許蘭雪軒

유선사(遊仙詞) 8 閑解靑囊讀素書(한해청낭독소서) 한가롭게 푸른 주머니 끌러 신선의 경전을 읽는데 露風烟月桂花疎(로풍연월계화소) 달은 이슬바람에 흐려지고 계수나무 꽃도 성글었네 西婢小女春無事(서비소여춘무사) 서왕모의 시녀는 봄이라 할 일이 없는데 笑請飛瓊唱步虛(소청비경창보허) 웃으며 비경에게 보허사를 불러달라고 하네

카테고리 없음 2024.11.17

遊仙詞 87-1-許蘭雪軒

유선사(遊仙詞) 1 千載瑤池別穆王(천재요지별목왕) 천년 고인 요지에서 목왕과 헤어지니 暫敎靑鳥訪劉郞(잠교청조방유랑) 파랑새로 하여금 유랑을 찾게 하네 平明上界笙蕭返(평명상계생소반) 밝아오는 하늘에서 피리소리 들려오니 侍女皆騎白鳳凰(시녀개기백봉황) 시녀들은 모두 흰 봉황을 탔네 *감상 허난설헌의 시는 마치 고대 중국의 신화나 전설을 연상시키는 판타지 세계를 그려낸다. 요지, 서왕모, 반도 나무, 목왕 같은 요소들은 동양의 신선 문화와 전설적 인물들을 떠올리게 한다. 선계의 환상적인 이미지를 독자의 마음속에 그려내면서, 유랑이나 유우석 같은 역사적 인물을 언급하며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독특한 문학적 표현을 사용한다. 이러한 허난설헌의 시 세계로의 여행은, 단순한 역사적 탐구를 넘어서 문학적 상상력과..

카테고리 없음 2024.11.17

夢遊廣桑山-許蘭雪軒

夢遊廣桑山(몽유광상산)-許蘭雪軒 碧海浸瑤海(벽해침요해) : 벽해는 아름다운 요해에 젖어 들고 靑鸞倚彩鸞(청난의채난) : 푸른 난새는 곱디 곱게 채색한 난새와 어울리네 芙蓉三九朶(부용삼구타) : 연꽃 27송이는 시들어가고 紅墮月霜寒(홍타월상한) : 떨어진 붉은 꽃은 달빛 아래에서 서리에 차갑네 *주해 1)碧海(벽해) : 푸른 바다-푸른 색 구슬의 바다, 아름다운 천상세계. 2)瑤海(요해) : 아름다운 옥구슬 바다-흰 옥구슬의 바다, 아름다운 신선세계. 3)靑鸞(청난) : 푸른 난새(상상의 새) 4)彩鸞(채난) : 고운 색으로 장식한 난새(상상의 새) 5)芙蓉(부용) : 연꽃으로 작자를 상징 6)三九(삼구) : 27세 7)霜寒(상한) : 서리 내린 추운 곳, 즉 죽음을 상징. 8)廣桑山(광상산) : 신선 세..

카테고리 없음 2024.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