淸平樂[청평악] 年年雪裏[연년설리]
-李淸照[이청조]
<해마다 눈이 오는 가운데>
年年雪裏[연년설리] :
해마다 눈이 내리는 가운데
常插梅花醉[상수매화취] :
항상 매화 꽃을 꽂고 취했었네.
挼盡梅花無好意[뇌진매화무호의] :
다만 매화 꽃만 만질 뿐 기리는 마음 없어
贏得滿衣清淚[영득만의청루] :
옷에 맑은 눈물 가득히 남은 걸 깨닫네.
今年海角天涯[금년해각천애] :
올해의 바다 모퉁이는 까마득한데
蕭蕭兩鬢生華[소소량빈생화] :
쓸쓸하게 두 귀밑털 빛나게 생기네.
看取晚來風勢[간취만래풍세] :
늘그막에 바람의 기세 의지해 보니
故應難看梅花[고응난간매화] :
일부러 응해도 매화 보기 어렵겠네.

*淸平樂[청평락] : 당나라 때 교방악에서 유래, 송나라 때 하나의 詞牌[사패]로 정착되었다.
쌍조 8구 46자이며, 전단은 측성 운자 4개를 각 구마다 달고
하단은 평성 운자 3개를 3구를 제외하고 단다.
청평락 뒤에 부제를 이 사의 첫 구로 붙인 것은 사 제목을 적는 관행.
같은 곡조로 지은 사가 많기 때문에 이런 방식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李清照[이청조, 1084-1155] 남송의 시인. 易安居士[이안거사]
북송의 제남 태생으로 학자 집안에 태어나, 18세 때 趙明誠[조명성]에게 시집갔다. 남편은 금석학자로서, 주자사를 지내면서 부부가 함께 金石錄[금석록]을 편찬했다.
금의 침입으로 인하여 의해
집과 장서가 불태워졌고 남편과도 사별하여 강남을 정처없이 전전하다가
금화 지방에 살고있는 동생 李沆[이항]에게 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