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8 2

漫興-奇大升

淸晨起對書 瀟灑志堪舒 청신기대서 소쇄지감서細細梅花落 霏霏雨點踈 세세매화락 비비우점소拈毫歌樂只 飮水沃焚如 염호가락지 음수옥분여自喜幽棲僻 松篁擁小廬 자희유서벽 송황옹소려한가한 새벽에 일어나 글을 마주하니맑고 깨끗하여 뛰어난 마음을 펼치네.가늘고 작은 매화나무 꽃이 떨어지고부슬부슬 끊임 없이 거친 비가 내리네.붓을 집어 들고 다만 즐거움 노래하며물을 마시니 불타는걸 씻는 것 같구나.몸소 즐기며 궁벽한 곳에 조용히 사니소나무와 대숲이 작은 농막을 가리네.*****瀟 맑고 깊을 소 灑 뿌릴 쇄, 뿌릴 사, 나눌 시, 끊어지지 않는 모양 리(이) 堪 견딜 감 舒 펼 서 霏 눈 펄펄 내릴 비 踈 트일 소 拈 집을 념(염), 달 점 毫 터럭 호 沃 기름질 옥/물 댈 옥 焚 불사를 분 幽 그윽할 유/검을 유 棲 깃들일 ..

카테고리 없음 2025.06.18

隴斷 ( 壟斷 )

隴斷 ( 壟斷 ) 농단隴 고개 이름 롱(농) 斷 끊을 단1.깎아 세운 듯한 높은 언덕.2.이익(利益)이나 권리(權利)를 독차지함을 이르는 말. 어떤 사람이 시장(市場)에서 높은 곳에 올라가 사방(四方)을 둘러보고 물건(物件)을 사 모아 비싸게 팔아 상업상(商業上)의 이익(利益)을 독점(獨占)하였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맹자(孟子)≫의 에 나오는 말이다.*平隴望蜀(평롱망촉) 또는 得隴望蜀(득롱망촉) : 농(隴)을 얻고서 촉(蜀)까지 취하고자 한다는 뜻으로,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카테고리 없음 2025.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