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2 4

探梅-陸游

探梅(탐매) -육유(陸游)江路雲低糝玉塵(강로운저삼옥진) 강변로에 구름 내리고 옥 먼지 날리는데暗香初探一枝新(암향초탐일지신) 은은한 향 찾아가니 한 가지에 새롭게 피었네平生不喜凡桃李(평생불희범도리) 평생토록 복사꽃, 오얏꽃 기뻐하지 않았건만看了梅花睡過春(간료매화수과춘) 매화꽃을 본 후로 졸면서 봄을 지나노라...*육유(陸遊 1125~1210) 중국 남송시대 대표적 우국 시인으로 그는 어릴 때부터 재능이 뛰어나 12세에 시문을 지었고, 25세에는 당시 애국 사상 시인이었던 증기에게서 시를 배웠다. 육유는 시어가 매끄러우며 문장 구조가 깔끔하고 단정했다. 시와 사(詞) 뿐만 아니라 산문에도 능했고, 사학(史學)에 대한 조예 또한 깊었다.32살부터 85살까지 50년 동안 시를 써 현존하는 시는 10,000수에 ..

카테고리 없음 2025.03.12

南宗畵.文人畵

문인화동양화의 한 분파로 북종화에 대비되는 화파문인화(文人畵) 또는 '남종화'는 동양화의 일종으로 전문 화원들이 아닌 양반 사대부 계급에서 발전한 화풍을 일컫는다.남종화선불교 남종선(南宗禪)의 기본사상인 돈오(頓悟)가 그대로 남종화의 정신이다. 그러므로 그림의 기술보다는 휘호자(揮毫者)의 정신과 교양을 더 중시하며, 이것이 이루어진 연후에 그림을 그릴 때 격조 놓은 작품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남화는 문인, 사대부 사이에서 여기(余技)로 행해지는 문인화(文人畵)와 통하는 점이 많아서 문인들의 비호하는 바가 많았다. 예를 들어 '상남폄북설(尙南貶北說)' 같은 것은 명대의 동기창(董其昌), 막시룡(莫是龍) 등이 제창한 것으로 남화의 우위성을 강조한 것이다.문인화소박하고 담백한 화풍으로 학문과 교양..

카테고리 없음 2025.03.12

사자성어 惜吝成屎(석인성시)

사자성어에 惜吝成屎(석인성시)가 있습니다.惜(아낄 석),吝(아낄 린),成(이룰 성),屎(똥 시) 아끼고 아끼다 똥 된다는 의미입니다.많은 사람들이 평소에는 저렴한 신발에, 허름한 옷을 입고, 싸구려 그릇을 사용하면서, 값싼 그릇만 사용합니다. 후에 손님을 잘 맞이하기 위해 아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죽은 사람의 물건을 정리해주는 유품정리사들의 말에 따르면, 사람들은 대개 제일 좋은 것은 써보지도 못한 채 죽는다고 합니다. 그렇게 안 좋은 것만 쓰고, 안 좋은 것만 먹다 죽으면 우리 인생은 안 좋은 것으로 가득 채워진 채 끝이 납니다.물건이나 음식만 그럴까요. 아닙니다, 생각이나 말도 그렇습니다.평소 안 좋은 생각과 안 좋은 말만 하다가 생의 마지막 순간에 후회하는 사람이 많다고 합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5.03.12

西山大師 禪詩

遠近秋光一樣奇(원근추광일양기) 閑行長嘯夕陽時(한행장소석양시)滿山紅綠皆精彩(만산홍록개정채) 流水啼禽亦說詩(유수제금역설시)가을의 풍광 멀리나 가까이나 하나같이 기이한데석양에 휘파람 불며 한가롭게 갈어가네온 산의 붉고 푸름 모두 아름다운 빛깔이요흐르는 물, 새들의 울음소리 또한 시를 말 하네.*서산대사는 한국 선시(禪詩)를 완성한 뛰어난 시인으로, 허균을 비롯한 대가들이 한결같이 그의 시를 찬양하였다. 조선 한시의 비평에 있어 가장 엄정하고 공평한 시평을 한 홍만종(洪滿宗; 1643~1725)은 그의 저서 에서 서산대사의 ‘상추(賞秋, 가을의 노래)’를 소개하면서 “뜻이 오묘하고 호젓한 정취를 나타내고 있다. 스님이 재주가 많다는 말이 어찌 참말이 아니겠는가?”하였다.서산대사가 조선후기 선시에 끼친 영향은 절..

카테고리 없음 2025.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