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청만망雪晴晩望/당唐 가도賈島
<눈이 개어 저물녘 멀리 바라보며>
樵人歸白屋(초인귀백옥)
나무꾼은 눈덮인 초가집으로 돌아가고,
寒日下危峯(한일하위봉)
차거운 해는 높고 험한 봉우리 아래로 지네.
野火燒岡草(야화소강초)
들불은 언덕 풀 태우고,
斷煙生石松(단연생석송)
연기 끊어지니 바위틈에 소나무 생기네.
欲回山寺路(욕회산사로)
산사로 돌아오는 길에,
聞打暮天鍾(문타모천종)
저물녁 하늘에 종치는 소리 들린다.
*이 시는 816년 가도(賈島, 779~843)가 과거에 낙방하고 승려인 사촌 동생 무가(無可)가 있던 장안 서남쪽 규봉(圭峯) 아래의 초당사(草堂寺)에서 지낼 때 지은 시로 알려져 있다. 가도가 한유를 만나 환속하기 전 승려 시절 법명은 무본(無本)이었다. 가도는 시노(詩奴)라는 별칭이 있다. 그만큼 시에 탐닉하고 각고의 공력을 들이기 때문이다. 이 시 역시 청랭(淸冷)한 고음(苦吟)의 시인 가도의 본색을 잘 보여준다.
눈이 개어 저녁에 산책하러 나갔다가 해가 질 무렵 다시 산사로 돌아온다는 것이 이 시의 구도이다. 앞의 6구는 주로 시각적으로 바라본 풍경을 차고 맑은 언어로 묘사하고 있고, 마지막 두 구는 산책을 마치고 발길을 돌릴 때 산사에서 들려오는 저녁 종소리를 말하였다. 마지막 여운 속에 시인의 서정도 미묘하게 들어있다.
지팡이를 짚고 계곡을 바라보니 계곡에는 구름이 잔뜩 끼어있다. 땔감을 구하러 산으로 들어갔던 사람들은 나무를 지고 눈이 수북이 쌓인 초가로 돌아온다. 짧은 겨울 해도 겨울이라 더욱 험해 보이는 산으로 떨어지고 있다. 산 그림자가 길게 내려왔다.
시선을 먼 곳으로 돌리니 들 언덕에는 들불이 일어나 잡초를 태우고 있다. 그리고 다른 한 곳에는 운무가
바위곁에서 자라는 소나무 사이에서 피어오르고 있다. 이제 어느덧 돌아가야 할 시간이 다가왔다. 다시 산사로 가는 길로 발길을 돌린다. 그 무렵 시인이 머물러 있는 산사에서 저녁을 알리는 종이 울린다.
‘단연(斷煙)’은 따로 떨어진 안개나 구름의 조각을 말한다. 앞에 마침 들불이 있어 타다 남은 연기가 소나무에서 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여기서 말하는 것은 소나무 아래서 피어나는 간헐적인 운무를 말한다. 구름이나 안개를 연(煙) 자로 많이 표현한다. 가도가 이 절을 전에 방문했을 때 지은 시에 “벼루 가운데에 마른 잎 떨어지고, 베개 위에는 조각구름 한가하네.[硯中枯葉落, 枕上斷雲閒]”라고 한 시에서 ‘단운(斷雲)’이라 한 것과 그 실체가 같은 말이다. 석송(石松) 역시 지금의 양치식물 석송을 말한 것이 아니라 바위 곁에서 자란 소나무를 말한 것이다.
[참고] Web '한시365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