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山流水
【뜻】높은 산과 그 곳에 흐르는 물 → 악곡(樂曲)이 높고 오묘(奧妙)함. 음악을 감상하는 능력이 뛰어남.【출전】<열자(列子)> 권 5 탕문(湯問)편
【고사】
춘추시대, 거문고 연주에 뛰어난 백아(伯牙)에게 그의 연주를 잘 감상해 주는 종자기(鍾子期)라는 친구가 있었다. 어느 날, 백아가 거문고를 타며 그 마음을 높은 산에 오르는 듯 가졌다(伯牙鼓琴 志在高山). 이를 들은 종자기가 감탄하며 말했다.
"멋있도다. 하늘 높이 우뚝 솟아오름이 마치 태산(泰山)같구나!"
그리고 다시 백아가 거문고를 타며 그 마음을 흐르는 물에 두자(志在流水), 이를 들은 종자기가 다시 말했다.
"훌륭하도다. 넘실대며 흘러가는 것이 마치 황하(黃河)와 장강 같도다."
종자기는 백아가 생각하는 것을 틀림없이 알아냈다. 또 어느 날, 백아와 종자기는 태산의 북쪽에 놀러 갔다가 갑자기 소나기를 만나 바위 아래에서 비를 피하게 되었다. 백아는 우울한 마음에 곡조를 연주하다가, 다시 산이 무너지듯 한 느낌으로 곡조를 연주하였다. 곡조가 바뀔 때마다 종자기는 백아의 마음을 다 읽어 냈다. 백아는 거문고를 내려놓고 탄식하며 말했다.
"자네가 곡조를 알아듣는 것은 정말 훌륭하네. 나의 마음을 알아내는 것이 마치 나의 마음과 같다네. 이제 나의 음악 소리가 자네에게서 도망칠 곳이 있겠나?"
위의 두 사람에게서 유래한 다른 표현들로 ‘지음(知音)’ 또는 ‘지음식취(知音識趣)’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음률에 정통한 사람 또는 의기투합한 절친한 친구를 비유한 말이다. 또한 '백아(伯牙)가 종자기의 죽음을 슬퍼하여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뜻의 백아절현(伯牙絶絃) 백아파금(伯牙破琴) 또는 절현(絶絃)이라는 말들이 있는데, 이는 참다운 벗의 죽음을 이르는 말이다.』
*琴臺
왕망령 동쪽의 수려한 봉우리들 사이에 위치한 금대는 금 연주의 명인 백아가 그의 창작곡 <고산유수高山流水〉를 완성시킨 곳이다. 전하는 바에 따르 면, 춘추시기 초나라 금 연주의 명인 백아가 명산대천을 다니며 금의 고수를 찾다가 이곳 왕망령에서 진나라 맹인 악사인 師曠을 만나게 되었다. 사제의 늦은 만남을 한탄하며 두 사람은 매일 이 수려한 태항산에서 금을 연주했다. 마침내 백아의 실력이 일취월장하여 고산유수를 완성하니, 이 곡이 바로 백아가 지음 종자기를 처음 만났을때 연주했던 곡 고산유수(高山流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