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3 2

山中問答-李白

山中問答(산중문답) - 李白(이백)問余何意棲碧山 笑而不答心自閑(문여하의서벽산 소이부답심자한).桃花流水渺然去 別有天地非人間(도화유수묘연거 별유천지비인간). 어찌하여 푸른 산에 사느냐고 묻길래 웃으며 대답하지 않아도 마음 절로 한가롭네물 따라 복사꽃잎 아득히 흘러가는데 이곳이야말로 딴 세상이지 속세가 아니라오*이백(李白, 701~ 762):당나라 시대의 시인자는 태백(太白),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두보와 함께 중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시인으로 꼽힌다. 이 두 사람을 합쳐서 "이두(李杜)"라고 칭하고 이백을 "시선(詩仙)"이라 부른다. 현재 약 1,100여 수의 시가 남아 있다. 그의 시문학과 관련된 주제는 도교, 술 등이 유명하다.

카테고리 없음 2025.02.03

山中與幽人對酌-李白

山中與幽人對酌(산중여유인대작) - 李白(이백)兩人對酌山花開 一杯一杯復一杯(양인대작산화개 일배일배부일배)我醉欲眠君且去 明朝有意抱琴來(아취욕면군차거 명조유의포금래)두 사람이 마주 앉아 술잔을 나누니 산꽃이 핀다. 한 잔 한 잔 또 한 잔 .취하여 졸리니 그대는 가시게나. 내일 아침 한잔 생각나거든 거문고 안고 오시게.어구(語句)幽人 : 세상이 어지러운 것을 피하여 그윽한 곳에 숨어 사는 사람.對酌 : 마주하여 술을 마심. 對飮(대음).有意 : 뜻 또는 생각이 있음.감상(鑑賞)유인이 속세에서 찾아온 사람과 술잔을 나누며 술에 취한 후 찾아온 사람에게 말하는 형식이다. ‘一杯一杯復一杯’는 지금까지도 술자리에서 자주 말해지는 유명한 구절이다. 셋째 구 ‘나는 취해 졸리니 그대는 돌아가라’는 말은 陶潛(도잠, 陶淵..

카테고리 없음 2025.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