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나라의 노래 [鄭風]
처음에 주나라 선왕(宣王)이 동생 우(友)를 함림(咸林)에 봉한 땅이 정(鄭)이다. 뒤에 무공(武公)이 평왕(平王)을 도와 동천할 때 공이 있어 사도(司徒)가 되었고 여러 고을을 받았다. 정풍은 아마도 이때 이후에 지어진 듯하다.

치의(緇衣)-시경.정풍(鄭風)1
緇衣之宜兮 敝予又改爲兮 치의지의혜 폐여우개위혜
適子之館兮 還予授子之粲兮 적자지관혜 환여수자지찬혜
緇衣之好兮 敝予又改造兮 치의지호혜 폐여우개조혜
適子之館兮 還予授子之粲兮 적자지관혜 환여수자지찬혜
緇衣之蓆兮 敝予又改作兮 치의지석혜 폐여우개작혜
適子之館兮 還予授子之粲兮 적자지관혜 환여수자지찬혜
-풀이
치의가 어울리네. 해지면 내가 또 고쳐 드리리
그대가 관청에 갔다 돌아오면 밥을 드리리
치의가 보기좋네. 해지면 내 또 만들어 드리리
그대가 관청에 갔다 돌아오면 밥을 드리리
치의가 넉넉하네. 해지면 내가 또 지어 드리리
그대가 관청에 갔다 돌아오면 밥을 드리리
緇衣(치의) : 검은 옷으로 경대부가 조정에 일을 볼 때 입는다
宜(의) : 옷이 몸에 알맞다.
敝(폐) : 해지다
適(적) : 가다(往)
館(관) : 관청, 관사, 관서
粲(찬) : 좋은 백미, 밥
蓆(석) : 크다, 넉넉하다
<毛詩序>와 <鄭箋> 모두 정나라 무공(武公)과 그의 부친 환공(桓公)이 주나라의 사도(司徒)를 맡아 일을 잘 처리하였음을 찬미한 시라 한다.
주나라 선왕(宣王,재위BC827-782)이 배다른 동생 우(友)를 함림(咸林)에 봉하였으니(BC806) 환공이다.
환공은 주나라 유왕(幽王,재위BC781-771)의 대사도(大司徒)를 지냈는데 견융(犬戎)의 침입에 함께 싸우다 죽었다. 환공의 아들 굴돌(掘突)이 뒤를 이으니 무공이다.
무공은 사도(司徒)로서 진(晉)의 문후와 더불어 주나라 평왕(平王,재위BC770-720)의 동천(東遷)을 도와 10읍을 하사받았고 도읍을 회(檜)로 옮겼다. 이후 전국시대 한(韓)나라에게 멸망하였다(BC375)
<鄭風> 21편은 모두 동주 이후의 시로 대표적인 음풍으로 불린다

*다른 풀이
검은 옷
검은 옷이 잘도 맞네 해지면 다시 지어 드리리라 나라 일 보러 나가셨다 돌아오시면 음식을 올리리라
검은 옷이 좋기도 해라 해지면 다시 지어 드리리라 나라 일 보러 나가 셨다 돌아오시면 음식을 올리리라
검은 옷이 크기도 해라 해지면 다시 지어드리리라 나라 일 보러 나가 셨다 돌아오시면 음식을 올리리라
*정나라의 환공(桓公)과 무공(武公)이 계속 주나라의 사도(司徒)가 되므로 나라 사람들이 이들의 덕을 칭송하여 노래불렀다고 한다. 그러나 이 시의 화자는 일반 백성이라기보다 관리의 아내라고 보는 편이 더 나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