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日月-詩經國風邶風

시뜨락 시정(詩庭) 2025. 9. 7. 21:39

해님 달님(日月)-시경국풍패풍

日居月諸 照臨下土 일기월저 조림하토
乃如之人兮 逝不古處 내여지인혜 서불고처
胡能有定 寧不我顧 호능유정 영불아고

日居月諸 下土是冒 일기월저 하토시모
乃如之人兮 逝不相好 내여지인혜 서불상호
胡能有定 寧不我報 호능유정 영불아보

日居月諸 出自東方 일기월저 출자동방
乃如之人兮 德音無良 내여지인혜 덕음무량
胡能有定 俾也可忘 호능유정 비야가망

日居月諸 東方自出 일기월저 동방자출
父兮母兮 畜我不卒 부혜모혜 휵아부졸
胡能有定 報我不述 호능유정 보아불술

<해님과 달님>

저 하늘의 해님과 달님은 오늘도 이 세상을 비추시건만 어찌해서 우리 님은 나를 옛날처럼 대해 주지 않나요 어찌해야 님의 마음 잡을까요 나를 거들떠보지도 않는데

저 하늘의 해님과 달님은 오늘도 이 세상을 비추시건만 어찌해서 우 리 님은 나를 좋아하지 않나요 어찌해야 님의 마음 잡을까요 내게는 말 도 하지 않는데

저 하늘의 해님과 달님은 오늘도 동녘에 떠오르시건만 어찌해서 우리 님은 따뜻한 말 한마디 하지 않나요 어찌해야 님의 마음 잡을까요 당신 을 잊을 수가 없는데

저 하늘의 해님과 달님은 오늘도 동녘에 떠오르시건만 날 낳으신 아 버님 어머님 그이는 끝까지 나와 살지 않겠대요 어찌해야 님의 마음 잡 을까요 내게는 못된 짓만 해대는데

*부인이 남편에게 버림받고 부른 노래이다.

居(거,기)/諸(제,저) : 어조사
照臨(조림) : 비추다, 비치다.
下土(하토) : 시골,천하,대지
乃(내) : 그러나, 그런데
之人(지인) : 이 사람(是人)
逝(서) : 발어사
古處(고처) : 옛날 함께 살던 곳
胡(호) : 어찌
定(정) : 안정되다, 가라앉다.
寧(녕) : 어떻게 ...하겠느가! (반문)
冒(모) : 덮다.
報(보) : 보답하다. 갚다.
德音(덕음) : 좋은 말, 좋은 평판, 답장
良(량) : 어질다, 좋다
俾(비) : 하게 하다(使)
畜(축,휵) : 기르다(휵)
卒(졸) : 마치다, 끝내다
報(보) : 알리다, 답하다
述(술) : 말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