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난고 김병연(蘭皐 金炳淵)
별칭:김삿갓 金笠 의 시
<경치 감상(賞景)>
一步二步三步立(일보이보삼보립)
山青石白間間花(산청석백간간화)
若使畫工模此景(약사화공모차경)
其於林下鳥聲何(기어임화조성하)
한걸음 한걸음 또 한걸음 걷노라니
푸른산 하얀바위 사이사이 꽃이로세
만약에 화백에게 이경치를 그리라면
저 숲속의 새소리는 어찌해야 할까나
*푸른 산과 하얀 돌 그리고 활짝 핀 꽃은 눈에 보이는 것이니 그림 솜씨 있는 화공이 그것들을 못 그릴 리 없을 것 그렇다면 지금 들리는 저 새 소리는 어떻게 그려 낼런지 궁금하다. 눈에 보이는 산과 돌, 꽃만이 경치가 아니고 귀에 들리는 새 소리도 시인이 감상하고 있는 경치에서 빼 놓을 수 없었다.
■金炳淵(1807~1863)
朝鮮 後期 詩人으로 本貫은 安東이며 字는 性深, 號는 난고(蘭皐)이다. 俗稱 김삿갓 혹은 김립(金笠)이라고도 부른다. 父는 金安根이며 京畿道 양주에서 出生하였다.
1811년 洪景來의 亂 때 宣川府使로 있던 祖父 金益淳이 홍경래에게 降伏하였기 때문에 緣坐制에 의해 집안이 亡하였다. 당시 6세였던 그는 하인 金聖洙의 구원을 받아 형 炳河와 함께 黃海道 谷山으로 避身하여 숨어 지냈다. 後에 赦免을 받고 科擧에 應試하여 김익순의 行爲를 批判하는 內容으로 答을 적어 及第하였다.
그러나 김익순이 自身의 祖父라는 사실을 알고 난 후 벼슬을 버리고 20세 무렵부터 放浪生活을 시작하였다. 그는 스스로 하늘을 볼 수 없는 罪人이라 생각하고 항상 큰 삿갓을 쓰고 다녀 김삿갓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전국을 방랑하면서 각지에 卽興詩를 남겼는데 그 시 중에는 權力者와 富者를 풍자하고 조롱한 것이 많아 民衆詩人으로도 불린다.
아들 익균(翼均)이 여러 차례 歸家를 권유했으나 계속 방랑하다가 全羅道 동복(同福:전남 화순)에서 客死하였다. 유해는 寧越郡 太白山 기슭에 있으며, 1978년 그의 後孫들이 光州 무등산에 詩碑를 세우고, 1987년에는 영월에 시비가 세워졌다. 作品으로 《김립시집(金笠詩集)》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