漁夫四時詞夏詞十首-윤선도
<춘사1>
앞강에 안개 걷고 뒷산에 해비친다
배 띄워라 배 띄워라
썰물은 밀려가고 밀물은 밀려온다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강촌에 온갖 꽃이 먼 빛이 더욱 좋다.
<춘사2>
날씨가 덥도다 물 위에 고기 떳다
닻 들어라 닻 들어라
갈매기 둘씩 셋씩 오락가락 하는구나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낚싯대는 쥐고 있다 탁주병 실었느냐
<춘사3>
동풍이 잠깐 부니 물결이 곱게 인다.
돛 달아라 돛 달아라.
東湖를 돌아보며 西湖로 가자꾸나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앞산이 지나가고 뒷산이 나온다
<춘사4>
우는 것이 뻐꾹샌가 푸른 것이 버들숲가
배 저어라 배 저어라
어촌의 두어 집이 안개 속에 들락날락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맑은 깊은 연못에 온갖 고기 뛰논다
<춘사5>
고운 볕이 쬐는데 물결이 기름 같다
배저어라 배 저어라
그물을 넣어 둘까 낚싯대를 놓으리까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漁父歌에 흥이 나니 고기도 잊겠도다
<춘사6>
석양이 기울었으니 그만하고 돌아가자
돛 내려라 돛 내려라
물가의 버들 꽃은 고비고비 새롭구나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정승도 부럽잖다 萬事를 생각하랴
<춘사7>
芳草를 밟아보며 蘭芷도 뜯어 보자
배 세워라 배 세워라
한 잎 조각배에 실은 것이 무엇인가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갈 때는 안개더니 올 때는 달이로다
<춘사8>
醉하여 누웠다가 여울 아래 내려가려다가
배 매어라 배 매어라
떨어진 꽃잋이 흘러오니 神仙境이 가깝도다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인간의 붉은 티끌 얼마나 가렸느냐
<춘사9>
낚싯줄 걸어 놓고 봉창의 달을 보자
닻 내려라 닻 내려라
벌써 밤이 들었느냐 두견 소리 맑게 난다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남은 홍이 무궁하니 갈 길을 잊었더라
<춘사10>
내일이 또 없으랴 봄밤이 그리 길까
배 붙여라 배 붙여라
낚싯대로 막대 삼고 사립문을 찾아보자
찌거덩 찌거덩 어야차
어부의 평생이란 이러구러 지낼러라
*이 작품은 1651년에 윤선도 65세때 자신이 은거하던 보길도를 배경으로 부용동에서 은거할 때 지은것으로 읊은 춘하추동 40수의 연시조이다. 이 작품의 구조는 상당히 정제되어 있다. 우선 춘하추동의 각 계절에 따라 10수씩을 배정하고 계절의 변화에 따른 경물의 변화 내지 어부의 생활을 차례대로 형상화한다. 또 각 작품마다 삽입되어 있는 여음은 출범에서 귀선까지의 과정을 질서 있게 보여준다. 그리고 이 노래에서 冬詞의 마지막 수, 즉 총 40수 중 가장 마지막 수는 단순히 동사의 끝이 아니라 노래 전체에서 반복되어 온 흥취를 강렬하고 도도하게 집약해 줌으로써 가사의 결사와 같은 구실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