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녀동거(有女同車)-시경.정풍(鄭風) 9

有女同車 顔如舜華 유녀동거 안여순화
將翶將翔 佩玉瓊琚 장고장상 패옥경거
彼美孟姜 洵美且都 피미맹강 순미차도
有女同行 顔如舜英 유녀동행 안여순영
將翶將翔 佩玉將將 장고장상 패옥장장
彼美孟姜 德音不忘 피미맹강 덕음불망
-풀이
여인과 함께 수레에 있는데 얼굴이 무궁화 같고
몸은 새처럼 가벼우며 아름다운 패옥을 했네
저 예쁜 강씨 맏딸, 정말 아름답고 요염하네.
여인과 함께 걸어가는데 얼굴이 무궁화 같고
몸은 새처럼 가벼우며 패옥은 찰랑거리네
저 예쁜 강씨 맏딸, 좋은 평판이 끊이지 않네.

舜華(순화) : 무궁화. (蕣華)
將(장) : 또한. 또. ‘將…將…’로 쓰여 ‘…하기도 하고 …하다’의 뜻
翶翔(고상) : 새가 나는 모양 여자가 유연히 걷는 모양을 말한다. 일설에는 이리저리 배회하는 모양이라 함 앞서 <정풍,청인>,<정풍,여왈계명>에도 나옴
佩玉(패옥) : 허리띠를 장식하는 구슬
사대부의 예복 위에 좌우로 줄지어 차는 옥.
瓊琚(경거) : 아름다운 옥
孟姜(맹강) : 강씨 성의 맏딸, 강은 제나라 제후의 성이다.
전하여 미녀를 통칭함
洵(순) : 참으로, 정말
都(도) : 아름답다, 요염하다
舜英(순영) : 무궁화 舜華와 같다
將將(장장) : 쟁그랑 쟁그랑 옥, 금속이 부딪히는 소리(鏘鏘)
德音(덕음) : 좋은 평판
不忘(불망) : 잊지 아니함, 끊이지 않음(不已)
*다른풀이
수레를 함께 타고
여자와 함께 수레를 타니 아름다운 얼굴이 무궁화꽃 같네 이리 저리 수래를 몰고 갈 때에 허리엔 패옥으로 구슬을 찾네 저기 아름다운 맹씨 댁 맏딸이여 참으로 아름답고 우아하구나
여자와 함께 수레를 타니 아름다운 얼굴이 무궁화꽃 같네 이리 저리 수레를 몰고 갈 때에 패옥 소리 쨍그랑 울리는구나 저기 아름다운 맹씨 댁 맏딸이여 사람들 칭찬을 잊지 못하네
-혼인하는 남자가 자신의 신부가 꽃처럼 아름다움을 노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