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謙齋 百納屏 1

시뜨락 시정(詩庭) 2025. 7. 9. 10:23

겸재 백납병 謙齋 百納屏

겸재 백납병 謙齋 百納屏 정선 조선, 18세기 (그림) 168.5×294.0cm(병풍) 고려대학교박물관

백납병(百納屏)은 다양한 화면 형식의 작은 그림들을 병풍의 각 폭에 여러 점씩 부착하여 여러 종류의 작품들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황(粧潢)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조선 말기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크게 유행하였다. 이 백납병은 다양한 정선의 소품들을 수집한 이가 하나의 병풍 형식으로 만든 결과물로 추정된다. 총 8폭으로 구성된 이 백납병의 각 폭에는 그림 3점씩 부착되어 있으며, 마지막 폭에는 강세황(姜世晃, 1713-1791)의 화평이 수록되어 있다. 백남병에 있는 정선의 그림들은 정선을 대표하는 진경산수를 비롯하여 고사인물, 영모화 등 다양한 주제를 망라하고 있다. 정선 작품에 대한 애호와 이를 기억하려는 모습이 근대에 이르기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 주는 중요한 예이다.

발문 跋文 강세황 姜世晃

발문 跋文 강세황 종이에 수묵 27.7×22.1 cm

謙翁作畫,埋筆成塚,
巨軸大障,流傳滿人間,草草數筆,何足窥一斑,

겸용(정선)은 그림을 그리면서 닮아버린 붓이 무덤을 이루었다.
거질의 화축과 큰 족자가 인간 세상에 널리 전해지는데, 간략한 몇 번의 붓질에서 어찌 그의 일면을 엿볼 수 있겠는가. 표옹(강세황).

謙齋 百納屏 2

柳暗花明又一村버들 무성하고 꽃이 밝은 곳에또 마을이 있네驢背春睡足 青山夢裏行覺來知雨過 溪水有新聲나귀 등에서 봄잠이 혼곤하여 푸른 산을 꿈을 꾸며 지나네 깨고 보니 비가 지나갔는

lazy-rive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