孤舟-天童正覺
孤舟고주-天童正覺천동정각
三老暗轉柂 孤舟夜廻頭
삼노암전다 고주야회두
蘆花兩岸雪 煙水一江愁
노화양안설 연수일강 수
風力扶帆行不棹 笛聲喚月下滄洲
풍력부범행부도 적성환월하창주
천동정각의 한 척의 배.
지혜로운 노인이 어둠 속에서 배의 키를 돌려
밤에 한 척 배의 뱃머리를 돌리니,
양 강둑에 갈대꽃은 눈처럼 보이는데
온 강에 피어나는 물안개가 근심스럽구나.
바람의 힘이 돛대를 밀어 노 젓지 않아도 가니
자연의 소리가 달을 불러 창주로 내려간다
천동정각(天童正覺 , 1091~1157)
굉지정각(宏智正覺). 산서성 습주에서 태어났다. 11세때 정명사(淨明寺) 본종화상(本宗和尙)에게 머리를 깎았다. 14세에 진주(晋州) 자운사(慈雲寺)의 지경화상(智瓊和尙)에게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18세에 구도행각 길에 올랐다. 여주(汝州)의 향산(香山)에 가서 고목법성선사(枯木法成禪師)를 만났다. 여기에서 깨침을 얻고 법성(法成)의 지시에 따라 단하산의 자순(子淳)을 찾아갔다. 자순에게서 확연히 크게 깨달았다. 검소하기 이를 데 없었고, 문하에는 언제나 1,200여 납자(衲子)가 모여들었다. 많은 납자에 비해 식량은 한정되어 있었다. 그럴 때면 죽을 쑤어 먹었다. 죽으로도 안 되면 불어난 사람 수만큼 물을 부어서 죽을 쑤었는데 그 죽에 천장이 비치는 정도였다고 한다. 공부하러 오는 사람은 누구라도 되돌려 보내지 않았다. 30여년 간 천동산(天童山)에서 조동가풍(曹洞家風)을 드날렸다. 소흥(紹興) 27년 67세로 입적했다. 후세 사람들은 천동정각을 일컬어 대혜종고와 함께 ‘선문(禪門)’의 2대 감로(甘露)라고 했다.
저서 : 《천동송고백칙(天童頌古百則 : ‘從谷錄’의 원전)》, 《천동굉지각선사어록(天童宏智覺禪師語錄)》(4권), 《굉지선사광록(宏智禪師廣錄)》(9권)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