羌村三首其三-杜甫
강촌삼수(羌村三首) - 두보(杜甫)
其三
群鷄正亂叫(군계정난규) :
닭의 무리들이 한바탕 시끄럽고
客至難鬪爭(객지나투쟁) :
낯선 객 들어오니 닭이 어지러이 싸우네.
驅鷄上樹木(구계상수목) :
닭을 몰아 나무위로 쫓고
始聞叩柴荊(시문고시형) :
싸리문 두드리는 손님을 맞는다.
父老四五人(부노사오인) :
마을의 노인들 사오명이 찾아와
問我久遠行(문아구원행) :
오래 만에 먼 길에 돌아온 나를 위로하네.
手中各有携(수중각유휴) :
손에는 무언가를 하나씩 들고
傾榼濁復淸(경합탁부청) :
탁주와 청주 술통 기울이며
莫辭酒味薄(막사주미박) :
술맛 없더라도 마음 것 드시구려.
黍地無人耕(서지무인경) :
기장 밭에 밭 갈을 젊은 일꾼이 없고
兵革旣未息(병혁기미식) :
전란이 아직도 가시지 않아
兒童盡東征(아동진동정) :
자식들은 동쪽으로 출정 나갔다오.
諸爲父老歌(제위부로가) :
노인들 위하여 노래를 자청하고
艱難愧深情(간난괴심정) :
고생 중의 깊은 정에 감격하노라
歌罷仰天嘆(가파앙천탄) :
노래 한수 후 하늘보고 탄식하니
四座涕縱橫(사좌체종횡) :
함께한 모든 사람 눈물이 비 오듯 하네.
* 正亂叫 : 시끄럽게 재잘댐
* 驅鷄 : 닭을 몰다
* 叩柴荊 : 싸리문 두드리는 소리
* 父老 : 마을노인
* 問我 : 나를 위문
* 久遠行 : 오랫만에 먼 길 오다
* 各有携 : 저마다 들다
* 傾榼 : 술통을 기울임
* 濁復淸 : 탁주에 청주에
* 莫辭 : 사양 말고
* 酒味薄 : 술맛 없어도
* 黍地 : 기장 밭
* 兵革 : 전란
* 旣未息 : 아직도 가시지 않아
* 盡東征 : 모두 출정 나가다.
* 艱難 : 고생스러움
* 歌罷 : 노래 끝내고
* 涕縱橫 : 걷잡을 수 없이 눈물을 흘림
**인정과 고마움의 감격은 평범한 속에서도 느낄 수 있다. 무명의 촌로들과 어울려 난세를 한탄하며 눈물 젖는 이 시는 가식 없는 순수 사실주의 적 작품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