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行-杜牧
山行(산행)
遠上寒山石徑斜(원상한산석경사),
白雲生處有人家(백운생처유인가).
停車坐愛楓林晚(정거좌애풍림만),
霜葉紅於二月花(상엽홍어이월화).
멀리 늦가을 산의 경사진 돌길 오르니
흰 구름 피어나는 곳에 인가가 있네.
수레 멈추고 늦은 단풍숲 좋아함은
서리 맞은 단풍잎 봄꽃보다 더 붉어라.
<원문출처> 山行/作者:杜牧
全唐詩 卷524/維基文庫,自由的圖書館
---------------------------
○ 遠上(원상) : 멀리 있는 곳을 오르다.
○ 寒山(한산) : 늦가을의 산.
○ 坐愛(좌애) : 좋아하기 때문에. 坐는 ‘ 때문에, 까닭 없이’
○ 楓林(풍림) : 단풍나무 숲.
○ 霜葉(상엽) : 서리를 맞아 단풍 든 잎. 홍엽(紅葉).
○ 二月花(이월화) : 음력 2월의 꽃. 즉 봄날에 피는 꽃을 말한다.
이 시는 전당시(全唐詩)에 실려 있으며 늦은 가을날 산에 올라 산 아래를 내려다보며 가을 단풍이 봄날의 꽃보다 더 붉은 산의 아름다움을 감탄하는 마음을 읊은 시이다.
두목(杜牧, 803 ~ 852)은 만당 시기 당시(唐詩)의 섬세하고 기교적인 풍조에 비해 평이하면서도 호방한 시를 지었다. 그의 시는 풍류를 즐기기 위한 풍류시와 과거의 역사를 노래한 영사(詠史), 시사 풍자에 뛰어날 뿐 아니라 요염하면서도 아름다운, 그럼에도 강건한 면을 모두 갖추어 때때로 리얼리즘을 떠나서 인상파적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강남(江南)의 풍경을 그림처럼 표현한
강남춘(江南春)이 유명하며, 양주에서 풍류재자(風流才子)로서 지내덜 시절의 모습을 그린 견회(遣懷)는 현실을 벗어난 가상적이라는 시풍(詩風)을 반영하고 있다. 성당 시대의 시인 두보와 작풍이 비슷하며, 노두(老杜) 두보와 구별하기 위해 소두(小杜)라고도 부르며, 동시대의 시인 이상은과 함께 「만당의 이두(李杜)」로 통칭된다.
<위키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