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望-王績
野望 -王績
<동고東皐의 들녘에서 바라보며>
東皋薄暮望 동고박모망
동고에서 저물 무렵 바라보나니
徙倚欲何依 사의욕하의
배회하는 나 어디로 가야 하나
樹樹皆秋色 수수개추색
나무마다 모두 가을 풍경이고
山山唯落暉 산산유락휘
이산 저산 석양이 지고 있거니
牧人驅犢返 목인구독반
소치는 이 송아지 몰고 돌아오고
獵馬帶禽歸 엽마대금귀
사냥하는 말엔 새 달고 귀가하네
相顧無相識 상고무상식
서로 돌아보아도 모르는 사람들
長歌懷采薇 장가회채미
길게 노래하며 채미가 생각하네
*왕적(王績, 약589~644)
수말당초(隋末唐初)
수나라 강주(絳州) 용문(龍門), 지금의 산서성 하진(河津) 사람으로, 효렴에 천거되어 비서 정자(秘書正字)에 제수되었지만 병을 핑계로 조정을 떠났고, 나중에 다시 벼슬을 받았지만 천하가 어지러운 것을 보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당나라 때 다시 벼슬을 받았지만 얼마 안 있어 고향에 돌아가 동고산(東皋山)에서 농사를 짓고 살면서 호를 동고자(東皐子)라고 하였다. 강의 섬에 중장자광(仲長子光)이라는 사람이 처자도 없이 은거하고 있었는데 성품이 진솔하여 그 집 옆에 집을 짓고 날마다 술을 마시며 지냈다. 주량이 술 다섯 말이라 <오두선생전(五斗先生傳)>을 짓고 주경(酒經)과 주보(酒譜)를 편찬하였다. 금(琴)을 잘 탔다. 이와 같은 그의 생애는 《당재자전(唐才子傳)》에 실려 있다.
*동고(東皐)는 도연명의 <귀거래사>에서 나온 말이고 <오두선생전> 역시 <오류선생전>을 염두에 둔 말이니 도연명의 은거에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두 번째 구에서 “배회하며 어디로 가야 하는가?”라고 하였는데, 이 말은 마지막의 채미(采薇)라는 말과 함께 이 시의 뜻이 어디에 있는지 가늠하게 해 준다. 이 말은 모두 《사기(史記)》에서 맨 처음 나오는 열전인 <백이전(伯夷傳)>과 관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