題都城南莊-/崔護
<題都城南莊>

去年今日此門中[거년금일차문중] :
지난해의 오늘 이 문 가운데에는
人面桃花相映紅[인면도화상영홍] :
사람 얼굴 복숭아 꽃 서로 붉게 비추었지.
人面不知何處去[인면부지하처거] :
사람의 얼굴 어데로 갔는지 알 수가 없고
桃花依舊笑春風[도화의구소춘풍] :
복숭아 꽃만 변함없이 봄 바람에 웃는구나.
崔護[최호] :
772-846, 자는 殷功[은공], 博陵[박릉]사람,
당나라 때 경조윤, 어사대부, 嶺南節度使[영남절도사] 등을 지낸 시인.
진사 시험에 합격하던 貞元[정원]연간 796년, 그의 나이 25세 이전에 지은 시.
최호는 젊어서 과거에 수차례 응시했으나
그 해도 낙방했다. 마침 청명절이었는데,
울적하고 쓸쓸한 마음을 달래려고
혼자 장안성 남쪽 교외로 봄 구경을 나섰다.
한적한 시골 마을을 지나는데,
어느 농가 앞뜰에 복숭아꽃이 활짝 비어있었다.
그 복수아꽃 밑에 여인 하나가 서있는데
활짝 핀 복숭아꽃과 같아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아름다웠다.
한눈에 반한 최호는
그 여인에게 다가가 물을 청해서 한 잔 마시고 돌아왔다.
집에 돌아와서도 그 복숭아꽃이 만개한 풍경과 아름다운 여인을 오래 동안 잊을 수가 없었다.
그 다음해 과거에 합격하였고 마침 청명절이 돌아오자
그 여인에 대한 정을 억누를 수 없어 작년의 그곳을 찾아갔다.
그러나 문은 잠겨있고 만개한 도화는 옛날과 같은데 복숭아 꽃 아래 미인은 어디간지 없었다.
실망감에 사로잡혀 망연히 서 있다가 문 위에 이 시를 써놓고 돌아왔다.
며칠이 지나고 우연히 장안 남쪽 교외에 왔다가 다시 그곳을 찾았는데,
그 집안에서 통곡소리가 들려왔다.
문을 두드르니 노인이 나와
“그대가 최호인가? 작년 이래 내 딸이 그 대 때무에 상사병에 걸렸다.
최근 그대가 문 위에 써놓은 시를 보고 상사병이 더욱 심해져서 식음을 전폐하여 숨이 끊어지려고 한다. ”
라고 말했다.
그 말에 최호가 안으로 달려 들어가 그 여인을 끌어안고
내가 왔다고 통곡하자 죽어가던 처녀가 다시 소생했다.
그 후 두 사람은 결혼하여 행복하게 살았다고 전해진다.
孟棨[맹계]의 本事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