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上.下-겸재 정선(謙齋 鄭敾)

시뜨락 시정(詩庭) 2025. 5. 5. 06:22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조선 후기 화가 정선(鄭敾:1676~1759)이 서울 주변의 풍경을 그린 대표적인 진경산수화첩.

비단 바탕에 수묵담채. 각 폭은 세로 20.8~31㎝, 가로 16.8~41㎝. 간송미술관 소장. 1권 33폭으로 되어 있었으나 1802년 상첩 19폭 하첩 14폭으로 개첩되었다. 상첩에는 정선이 양천(지금의 서울 강서구 가양동·등촌동 일대) 현령으로 재임하던 1740~41년에 친구 이병연(李秉淵)과 시와 그림을 서로 바꿔보자는 약속을 위해 그렸던 양천팔경을 비롯하여 한강과 남한강변의 명승도들이 수록되어 있다.

하첩은 상첩보다 10여 년 뒤에 그려진 것으로, 서울 주변의 실경도들과 함께 타계한 이병연을 회상하며 양천에 있을 때 그로부터 받은 시찰을 화제로 한 그림들이 실려 있다. 상·하첩에 모두 33점이 수록되어 있으며 파묵·발묵·훈염법에 토대를 두고 발전된 그의 60대 후반에서 70대 중반의 독창적인 진경산수의 특색과 변모의 과정을 살펴보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진경산수화의 대가인 겸재 정선은 1740년(영조 16) 12월 65세의 나이로 양천현(陽川縣, 현재 서울 강서구 가양동 일대) 현령(縣令, 종5품)으로 발령받았다. 이듬해인 1741년 2월에 겸재의 지기(知己)인 진경시의 대가 사천(槎川) 이병연(李秉淵, 1671 – 1751)이 겸재에게 편지를 보내 시와 그림을 서로 바꾸어 보자는 시화환상간(詩畵換相看)의 약속을 제안했다. 이 약속대로 겸재가 양천현령 시절(1740–1745) 한강을 비롯하여 서울의 빼어난 경치와 다양한 고사(故事)를 그려 만든 화첩이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이다."

보물 讀書餘暇圖/경교명승첩 정선


경교명승첩 上(1)
[00:22] 독서여가
[01:37] 녹운탄
[02:52] 독백탄
[04:07] 우천
[05:22] 미호
[06:37] 미호(삼주삼산각)
[07:53] 광진
[09:07] 송파진
[10:21] 압구정
[11:37] 목멱조돈
[12:52] 마무리



경교명승첩 上(2)
[00:22] 안현석봉
[01:37] 공암층탑
[02:52] 금성평사
[04:07] 양화환도
[05:22] 행호관어
[06:37] 종해청조
[07:53] 소악후월
[09:07] 설평기려
[10:22] 빙천부신
[11:37] 마무리


경교명승첩 下
[00:22] 인곡유거
[01:37] 양천현아
[02:52] 시화환상간
[04:07] 행주일도
[05:22] 창명낭박
[06:37] 은암동록
[07:53] 장안연우
[09:07] 개화사
[10:24] 사문탈사
[11:37] 척재제시
[12:52] 어초문답
[14:07] 고산상매
[15:22] 장안연월
[16:37] 마무리